금리를 비교해 보는 것으로 "금융" 배우기

    안녕하세요

    올해 2분기 성장률이 0.8%를 기록하면서 연간 성장률 4% 달성에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기사입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2D&mid=shm&sid1=101&sid2=259&oid=014&aid=0004702680 

     

    2분기 성장률 0.8%… 연 4% '파란불'

    올해 2·4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8%를 기록했다. 기존 속보치보다 상향 수정되면서 연간 4% 성장률 달성 가능성이 높아졌다. 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2·4분기 국민소

    news.naver.com

    나라의 경제 성장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반가운 일인데, 코로나19로 서민경제에 어려움이 많은 이 상황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성장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금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금리는 우리 경제에 직접,간접적으로 모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당장, 금리가 오르면 우리나라 가계대출로 인해 서민경제에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한국은행 뿐만 아니라, 정부에서도 얼마나 언제쯤 올려야할지에 대해서 엄첨난 고민을 합니다.

    하지만 높아지는 성장률, 인플레이션, 환률 등 금융 전반을 고려한다면, 소위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습니다.

    결국, 관심을 가지고 금리를 전망하면서 시중은행을 관찰하면서 금리를 배워서 합리적인 대책과 대안을 짜야합니다.

     

    전국은행연합회

    은행연합회는 1928년 은행들이 함께 설립한 자발적 협의기구인 ‘사단법인 경성은행집회소’로 시작된 이래, 금융산업이 양적·질적으로 발전하면서 그 기능과 역할이 확대됨에 따라, 1984년 5월 ‘사단법인 전국은행연합회’로 확대·개편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은행연합회는 무엇을 하는 곳일까요?

     

    설립 목적

    • 사원은행 상호 간의 업무협조와 은행업무의 개선을 통한 금융산업 발전 도모 등

     

    주요 기능

    • 은행 경영 관련 제도개선 사항 발굴 및 정책건의
    • 사원은행 현안사항 해결을 위한 공동연구·업무개발
    •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은행 글로벌 진출 지원
    • 은행산업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 지원
    • 금융소비자 권익제고를 위한 대국민 서비스 제공
    • 금융소비자보호 강화
    • 은행권 공동 사회공헌활동 실시
    • 금융교육 실시
    • 은행권 공동 대외홍보
    • “세금우대저축자료집중기관”으로서 세금우대저축 취급 금융회사의 저축자료 집중 및 제공
    • “고액현금거래 보고자료 중계 기관”으로서 금융회사의 고액현금거래자료의 중계

    전국은행연합회

    www.kfb.or.kr

     

    전국은행연합회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 정보, 소비자 정보, 회원사 정보 및 연합회 소개 등

    www.kfb.or.kr

     

    주요 메뉴

     

    • 외화송금수수료

    • 맞춤상품검색

    • 가계대출금리 조회

    • 위 3가지 외에도 예금금리, 예금수수료, 휴면예금조회, 중소기업대출금리, 금융관련법규까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금융(예금)상품 비교공시까지 해 두고 있어서, 간편하게 찾는 예금, 대출 상품을 맞춤상품검색을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위 은행연합회 외에도 금리를 비교해 주는 온라인 사이트 뿐만 아니라 앱 등 플랫폼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어려움도 있습니다. 
    저처럼 관심이 없던 사람은 처음엔 용어자체가 어렵고, 광고가 같이 섞여 있어서, 신뢰를 할 수 있는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은행연합회는 직접적인 특정 영업목적의 사이트는 아닌 듯하여 참고하시기에는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수많은 정보들 속에서 TMI는 걸러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 사용하는 것은 어쩌면 이제 필수 능력이 되었습니다.
    다음에는 또 다른 플래폼 또는 기관 소개로 
    금리를 찾아보고, 시중 상품을 검토함으로써 배움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